달러는 어디까지 추락할 것인가? 닉슨 이후 최악의 위기?

달러는 어디까지 추락할 것인가? 닉슨 이후 최악의 위기? <Foreign Policy>





📌 한줄요약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의 정책은 1970년대 닉슨 행정부의 달러 금 태환 정지 결정과 유사하게 달러 약세, 인플레이션,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미국의 대외 채무 증가와 금리 상승 위험이 달러의 지속적인 하락을 야기할 수 있다. 외교 및 국제관계 전문지 <Foreign Policy>에 케네스 로고프(Kenneth Rogoff)가 기고한 6월 30일자 에세이다.


📖 왜 중요한가! (의미와 맥락)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 대학교 교수는 현재 미국 경제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제 정책으로 인해 과거 닉슨 쇼크 당시와 유사한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1971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달러 금 태환 정지는 브레턴우즈 체제를 붕괴시키고 10년간 높은 인플레이션과 낮은 성장을 야기하며 달러 약세를 심화시켰다. 오늘날 트럼프의 관세 전쟁, 법치주의 약화, 무역 개방성 감소, 이민 제한, 연구 대학 공격 등은 달러의 지배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스티븐 미란의 '마라라고 협정' 구상과 같이 외국 정부에 무이자 100년 만기 채권을 강요하는 제안은 외환 보유국들의 미국 채권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고, 이는 달러 약세와 인플레이션 가속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의 기축통화 지위와 글로벌 금융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국제 경제 주체들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 핵심 포인트 (Key takeaways)

1️⃣ 닉슨 쇼크와의 유사성: 1971년 닉슨의 달러 금 태환 정지 결정은 브레턴우즈 체제를 붕괴시키고 1970년대 높은 인플레이션낮은 경제 성장, 그리고 달러 약세를 초래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전쟁 및 기타 정책들(법치주의 약화, 무역 개방성 축소, 이민 제한)은 이러한 닉슨 시대의 경제적 혼란을 재현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2️⃣ 브레턴우즈 체제의 취약성: 제2차 세계대전 후 달러를 중심으로 한 브레턴우즈 체제는 다른 통화들이 달러에 고정되는 구조였다. 그러나 유럽과 일본의 성장으로 달러 자산 수요가 증가하고 미국이 달러를 계속 발행하면서 금으로의 태환 비율이 낮아졌다. 예일 대학교 로버트 트리핀 교수는 1959년 이러한 시스템의 내재적 모순인 트리핀 딜레마를 예측했는데, 이는 달러의 신뢰도 하락과 시스템 붕괴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한 것이다.

3️⃣ 트럼프 2기 정책의 위험: 트럼프 행정부의 마라라고 협정(Mar-a-Lago accord) 구상(외국 정부의 100년 무이자 할인 채권 수용)은 주권 국가의 채무불이행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이는 외환 보유국들이 달러 자산에 대한 신뢰를 잃고 헤지에 나서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달러 약세인플레이션을 심화시킬 수 있다.

4️⃣ 미국 부채의 지속 불가능성: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미국의 국가 부채는 GDP 대비 120%를 초과하며 지속 불가능한 궤도에 진입했다. 장기 금리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부채를 억제하려는 정치적 의지가 부족하여, 외국인의 미국 자산 수요 감소와 추가적인 금리 상승은 부채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이는 향후 4~5년 내에 또 다른 인플레이션 폭발이나 성장을 저해하는 금융 억압과 같은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을 높인다.


🔍 정리하면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 대학교 교수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제 정책이 1970년대 리처드 닉슨 대통령 시대의 달러 위기와 유사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닉슨의 금 태환 정지는 브레턴우즈 체제를 붕괴시키고 인플레이션과 달러 약세를 야기한 바 있다. 현재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마라라고 협정'과 같은 제안은 외국 중앙은행들의 달러 신뢰를 약화시키고, 이는 달러의 지배력을 더욱 침식할 수 있다. 특히, 미국의 지속 불가능한 국가 부채와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은 달러 가치 하락과 금융 위기 가능성을 높이며, 이는 닉슨 시대와 마찬가지로 경제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국 중심의 위안화 블록유로 블록의 확대, 그리고 암호화폐의 부상은 달러의 입지를 더욱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투자 조언

  • 달러 자산 비중 축소: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과 미국 부채 문제로 인한 달러 약세 위험을 고려하여 달러 기반 자산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이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 다변화된 포트폴리오: 위안화 블록과 유로 블록의 성장을 예상하여 중국 및 유럽 자산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과 같은 안전 자산을 포트폴리오에 포함하여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비하는 것이 좋다.

  • 신흥국 시장 모니터링: 중국을 주요 교역 파트너로 하는 동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의 신흥국 시장에서 달러와 디커플링되는 움직임에 주목하여 새로운 투자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네스 로고프는...

케네스 로고프는 하버드 대학교의 모리스 C. 보아스 국제경제학 교수이며, 국제통화기금(IMF)의 전 수석 경제학자다. 최신 저서로는 <우리의 달러, 당신의 문제: 글로벌 금융의 70년 혼란과 미래 전망> 등이 있다. (Kenneth Rogoff is the Maurits C. Boas professor of international economics at Harvard University and a former chief economist at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His most recent book is Our Dollar, Your Problem: An Insider’s View of Seven Turbulent Decades of Global Finance, and the Road Ahead.)



#달러약세 #트럼프 #닉슨쇼크 #브레턴우즈체제 #트리핀딜레마 #마라라고협정 #국가부채 #인플레이션 #기축통화 #외환보유고 #위안화블록 #유로블록 #암호화폐


🚨주의: 이 글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특정 금융 상품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장하는 내용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 블로그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 투자 관련 소식을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방법
[오픈채팅방] 외신 투자 영어 공부 https://open.kakao.com/o/gPgg0hAh
[텔레그램|Telegram] 외신 투자 영어 공부 https://t.me/fnnews_en
[RSS 구독] http://fnnewsdigest.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

google is brok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