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 리, "AI 투자, 꺾이지 않는다!" 펀드스트랫의 '그래니 샷' ETF와 시장 전망 <CNBC>
📌 한줄요약
펀드스트랫(Fundstrat)의 톰 리(Tom Lee)는 인구 통계학적 변화와 장기적인 테마에 기반한 '그래니 샷' 투자 전략을 소개하며, AI 투자는 단기적인 현상이 아닌 지속적인 성장 동력이며, 빅테크 기업의 설비 투자가 반도체 업종의 이익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톰 리의 7월 7일자 <CNBC> 인터뷰.
📖 왜 중요한가! (의미와 맥락)
현재 시장에서는 AI 투자 모멘텀이 꺾이는지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며, 이는 빅테크 기업들의 설비 투자(CAPEX) 추정치가 보수적으로 잡혀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펀드스트랫의 '그래니 샷' 투자 전략은 이러한 단기적인 시장 심리에 흔들리지 않고, 노동력 부족, 사이버 보안, 에너지 안보 등 장기적인 메가트렌드에 기반하여 투자 기회를 발굴한다. 특히 AI는 노동력 부족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등장한 핵심 기술이며,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반도체 업종의 이익 성장과 직결되며, 7월 말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서 AI 투자에 대한 확신이 재확인될 경우, 반도체 업종이 다시 시장 주도주로 부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핵심 포인트 (Key takeaways)
1️⃣ '그래니 샷' 투자 전략: 펀드스트랫은 인구 통계학적 변화와 장기적인 테마에 기반한 '그래니 샷' 투자 전략을 개발했다. 이는 노동력 부족(AI), 사이버 보안, 에너지 안보, 통화 정책, 경기 순환 등 7가지 핵심 테마를 식별하고, 최소 두 가지 테마에 연관된 기업에 투자하여 위험을 분산하고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방식이다.
2️⃣ AI 투자의 장기적 관점: AI는 노동력 부족이라는 글로벌 메가트렌드에서 비롯된 장기적인 이슈이며, 단기적인 사이클이 아닌 10~20년을 아우르는 세상을 변화시킬 테마로 인식한다. 빅테크 기업들은 AI 투자를 지속할 것이며, 이는 반도체 업종의 이익 성장을 견인할 주요 동력이 될 것이다.
3️⃣ 빅테크 설비 투자와 반도체 이익의 연관성: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의 서버 클라우드 사이클에서 빅테크 기업들의 설비 투자(CAPEX) 증가율이 연평균 38%를 기록했을 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주당순이익(EPS) 증가율도 34%로 유사하게 상승했다. 현재 2024년부터 2027년까지의 CAPEX 추정치는 20%로 낮게 잡혀있지만, 빅테크 기업들이 AI 투자에 대한 확신을 재확인하면 CAPEX 증가율이 과거 수준으로 회복되어 반도체 기업들의 EPS 성장률도 크게 확대될 수 있다.
4️⃣ 새로운 테마의 등장: 펀드스트랫은 기존 7가지 테마 외에 '주권 안보(Sovereign Security)'와 'Z세대 및 알파 세대'를 새로운 장기 테마로 고려하고 있다. 주권 안보는 공급망 재편을 통해 기업들이 자국 내에서 생산 기반을 강화하는 추세이며, Z세대 및 알파 세대는 미래 소비 시장을 주도할 핵심 인구 집단이라는 점에서 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5️⃣ 미국 시장의 독보적인 위치: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 시장은 가장 유동성이 풍부하고 혁신적인 기업들이 집중되어 있다. FAANG이나 Mag Seven과 같은 대형 기술 기업들은 미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미국 시장이 글로벌 투자에서 여전히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정리하면
펀드스트랫의 톰 리는 AI 투자가 단기적인 현상이 아닌 장기적인 성장 동력임을 강조하며, 빅테크 기업의 설비 투자가 반도체 업종의 이익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는 '그래니 샷' 투자 전략을 통해 노동력 부족과 같은 메가트렌드를 포착하고, 7월 말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서 AI 투자에 대한 확신이 재확인되면 반도체 업종이 다시 시장 주도주로 부상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또한, 주권 안보와 젊은 세대를 새로운 장기 테마로 제시하며, 미국 시장이 글로벌 투자에서 여전히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임을 강조한다.
💰 투자 조언
반도체 업종: 7월 말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서 AI 투자에 대한 긍정적인 시그널이 확인될 경우, 반도체 업종에 대한 투자 비중 확대를 고려할 수 있다.
AI 관련 기술주: AI는 장기적인 성장 테마이므로, AI 기술을 선도하는 혁신 기업들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의 투자를 고려할 수 있다.
미국 시장: 혁신 기업과 풍부한 유동성을 고려할 때, 미국 시장은 여전히 글로벌 투자의 핵심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야 한다.
🚨주의: 이 글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특정 금융 상품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장하는 내용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 블로그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오픈채팅방] 외신 투자 영어 공부 https://open.kakao.com/o/gPgg0hAh
[텔레그램|Telegram] 외신 투자 영어 공부 https://t.me/fnnews_en
[RSS 구독] http://fnnewsdigest.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